사업단명 |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사업단 |
---|---|
홈페이지 | http://linc.honam.ac.kr |
사업명 |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육성사업 |
연락처 | 062-940-5709 |
팩스 | 062-940-5712 |
사업기간 | 2017.3.1.~2022.2.28 |
사업목적
-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과 부합한 특화분야 산학협력 집중화 추진
- 대학교육 시스템을 사회맞춤형으로 개선하고 신학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졸업생의 취업 미스매치 해소
- 4차산업혁명을 대비한 지식기반사회의 싱크탱크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과 성장에 기여
- '신학협력중심대학 및 선도대학육성사업' 추진 성과를 비이공계대학을 포함한 전체 대학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산학협력의 지속 가능성 제고
-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고,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사회적 책무를 실천하고 대학중장기발전계획(VISION2020)' 교육감동 A+대학' 비전 달성
주요내용
VISION
- 선도모델 계승발전, 내실화 및 효과성 제고, 다양성 및 확산성 제고, 자립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 고도화 HUIC 모델 창출
INFRA & STRUCTURE
- 정부지원사업조정위원회 운영
- 산학협력 친화형 인사제도의 실질적 적용확산을 위한 혁신 제도 마련
- 취, 창업 역량강화를 위한 진로지도, 취창업지원 및 관리체계의 일원화
- 사회수요맞춤형 특화교육지원을 위한 ICT융합교육원 신설
- 기업지원 안정화 플랫폼인 종합기업센터(IICC) 구축
- 산학협력 효율화를 우한 대내의 서비스 연계 체계 구축
ACTION
- ICT융합 기반 특화산업분야 인력양성 역량 고도화
- 사회수요맞춤형 교육과정개발
- PBL인계 현장실습 강화
-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CO-COMMUNITY 프로그램
- 지역사회 맟 산업체 협력을 통한 사회적 가치 제고
- 기업지원형 병렬 스프링 지원모델을 통한 산학협력 고도화
- 기술가치평가를 통한 R&D 지원고도화 모델운영
대학 자율 산학협력
- LINC+ 비참여학과 및 지역대학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공동 프로그램 협력 추진
- 글로벌 산학협력 확신(상해대학 2+2 복수학위제, 한중기업 마켓, 코디네이팅, 글로벌 산학포럼 운영 등)
VISION 2020 중장기 발전계획
중장기 발전
핵심 5대 과제
- 교육프로그램 혁식
- 대학경영 효율화
- 교육지원 시스템 개선
- 교학브랜드 가치제고
- 교육환경 개선
-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
-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
- 대학브랜드 이미지 제고
특성화 분야
- ICT 융합기술
- 문화·디자인
- 보건·복지
- 관광·서비스
- 스포츠·레저
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
비전: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산학협력 허브대학
산학협력 선순환 고도화 모델(HUIC)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한 자립화
- '실사구시' 사회 맞춤형 인재양성
- 지역사회발전을 선도하는 싱크탱크 역할
- 우수기술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한 산학협력 자립화
핵심전략
- 산학협력 내실화 및 효과성 제고
- 산학협력 다양성 및 확산성
- 산학협력 선도모델 계승발전
- 산학협력 자립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
특성화 분야
- ICT 융합기반
- 친환경자동차사업
- 에너지신사업
- 문화콘텐츠 사업
산학협력 고도화 모델 LINC+ 사업계획
H
ighr-Quality 전략
산학협력의 내실화 및
효과성제고 과제
- 일자리 보고 감소 기업대상 R&D연구, 인재양성 집중자원
- 사회 맞춤형 인재양성 활성화
- 공학교육 혁신을 통한 창의적 인재양성
- 취·창업 역량강화
- HUIC 브랜드 프로그램 운영
U
niversalit 전략
산학협력의 다양성 및
확산성 제고 과제
- 지식융합을 통한 고부가 가치 미래 산업 개척
- 산학협력 다양화와 개방화 추진
- 문화, 예술, 서비스 SW분야 확대
- 특화분야 산학협력 추진
- 비참여 학과-대학 개방 추진
- 글로벌 산학협력 추진
I
nheritance 전략
산학협력 선도모델
계승발전 과제
- 산학협력 선도모델
- 고도화 모델 계승발전
- 산학협력진화형 인사제도 혁신
- 산학협력진화형 학사제도 혁신
- 현장실습, 캡스톤디자인, Case Study, 실무형스튜디오등
- 브랜드 프로그램 혁신
- 산학협력 인프라 계승 발전
C
ontinuity 전략
산학협력의 자립화 및
지속가능성 과제
- 산학협력 지속성(자립화)를 위한 기술자주회사 활성화
- 산학협력 조직 및 인력 역량강화
- 기술자주회사의 자회사 설립확대
- 산학협력 인센티브제도 활성화
- 기술사업화 통합지원 플랫폼 확대
- 산학협력 가입지원 전문성 제고
- 기술자체평가 확대
참여학과
총 19개학과
단과대학(학부) | 학과(전공) |
---|---|
공과대학 | 건축학과 |
공과대학 | 토목환경공학과 |
공과대학 | 전기공학과 |
공과대학 | 전자광공학과 |
공과대학 | 이동통신공학과 |
공과대학 | 컴퓨터공학과 |
공과대학 | 정보통신공학과 |
공과대학 | 인터넷콘텐츠학과 |
경영대학 | 문화산업경영학과 |
경영대학 | 중국어학과 |
경영대학 | 경영학과 |
경영대학 | 무역학과 |
경영대학 | 관광경영학과 |
경영대학 | 호텔경영학과 |
경영대학 | 항공서비스학과 |
인문대학 | 신문방송학과 |
디자인예술대학 | 의상디자인학과 |
디자인예술대학 | 산업디자인학과 |
디자인예술대학 | 뷰티미용학과 |
협력기관
광주광역시 외55개 (총56개)
사업예산
당해연도2,652백만원 / 총사업 13,260백만원
사업개요
· 대학의 특성화 추진 : 지역산업 여건에 적합하고 대학의 강점분야에 기반을 둔 대학 특성화를 추진하여 맞춤형 인력양성과 기업지원에 집중
· 졸업생의 취업미스매치 해소 : 대학교육시스템을 개선하고 산학협력체제를 강화하여 취업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취업률을 높여 대학중장기발전계획 『Vision 2020』의 ‘교육감동 A+대학』의 교육이념 구현
· 지역산업 성장과 발전 견인 역할 : 지식기반사회에 걸맞은 싱크탱크의 역할을 통해 지역산업체의 기술혁신과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
· 산학협력 추진성과 대학 전체 확산 : 공과대학 중심으로 추진한 “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”의 추진 성과를 전체 대학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산학협력의 지속 가능성(Substantiality)를 높이고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의 교육성과를 확산시켜 이를 대학 전체에 공유
주요내용
-
비전
-
지역발전을 선도하는 산학협력 허브 대학
-
목표
-
인재양성과 지역사회발전 싱크탱크 역할(산학협력모델)
-
추진전략
-
- SMART - Honam
-
Sustainability of Industry-University Cooperation
산학협력 지속 가능성 제고
-
Maximizing honam's Strength
호남대 강점분야의 특성화
-
Appropriating Industry Needs
산업체 수요기반 기업지원
-
Resolution of Job Mismatch
취업 미스매치 해소
-
Toward Mutal Interest & Growth
산학 공동 Win-Win 전략
-
특성화분야
-
그린·IT 융합
-
문화디자인·관광
-
지역특화/전략산업
-
- 그린 에너지, 그린시티
- 스마트 가전
- 광 융복합 -
- 문화 콘텐츠
- 디자인 산업
- 관광서비스
-
특성화학과
-
- - 전자공학과
- - 정보통신공학과
- - 문화산업경영학과
- - 항공서비스학과
- - 전자광공학과
- - 인터넷콘텐츠학과
- - 신문방송학과
- - 의상디자인학과
- - 이동통신공학과
- - 건축공학과
- - 호텡경영학과
- - 산업디자인학과
- - 컴퓨터공학과
- - 토목환경공학과
- - 관광경영학과
- - 뷰티미용학과
세부사업내용
산학교육지원 | · 특성화 학과(전공) 육성 · 현장실습학점제운영(현장실습지원센터) · Capstone Design 지원 · 취업촉진 프로그램 운영 · 특성화 스튜디오 교육 프로그램 · 창업교육지원(창업교육센터) · Case Study |
산학기술지원 | · 가족회사 · 산학협력협의회 · 기술개발 · 애로기술지도 · 산업계 재직자 교육 · 시제품 제작 · 생산성 향상/시루경영 · 기업 디자인 지원(RED) · 공용장비센터 · 클리닉센터 |